[추천 글]

[Pin Point] Ai 3파전 / 엔비디아 / 트위치 (2024년)

AI 개발 경쟁 삼파전, 구글 vs 오픈AI vs 메타의 'AI동맹' 현지 시각 6일, 구글이 최신 대규모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를 공개하면서 AI 개발 경쟁이 가열되고 있습니다. 구글,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 연합,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중심의 AI 동맹이라는 세 축으로 경쟁 구도가 재편되는 흐름인데요. 지난달 오픈 AI는 GPT-4 터보와 GPT스토어를 선보였고, 최근 메타는 IBM 등 50개 이상 인공지능 관련 기업과 AI 동맹을 결성하고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오픈 소스로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엔비디아 CEO, 미국 상무부 경고에도 중국 수출 지속 희망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당국의 제재에도 중국에 고사양 프로세서를 공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현지 시각 6일 보도했습니다. 지나 러몬드 미국 상무장관이 국가 안보를 이유로 AI 칩을 중국에 판매하지 말라고 경고했지만, 새로운 규정을 준수하는 새 제품 세트를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힌 건데요. 최근 엔비디아는 미국 당국과 대중국 AI 반도체 제재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아프리카TV, 트위치 한국 철수에 주가 급등 실시간 인터넷방송 플랫폼 아프리카TV의 주가가 경쟁사인 트위치의 한국 사업 철수 발표에 전일 대비 29.91% 오른 83,400원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아마존닷컴이 보유한 트위치는 오늘 영업난을 이유로 내년 2월 27일부터 한국에서의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밝혔는데요. 이에 내년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가칭)을 새롭게 출시할 네이버의 주가도 0.23% 오르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info] 3대 연금 - 똑똑한 노후 준비 알아보기

[info] 3대 연금 - 똑똑한 노후 준비 알아보기

https://www.korea.kr/news/visualNewsView.do?newsId=148903668&pWise=sub&pWiseSub=I1


연금의 종류를 알아보고 건강한 노후를 준비해요!


여행 갈 돈을 모으는 여행 통장, 건강을 위한 의료보험, 집을 사기 위한 청약, 노후를 위한 연금 등 우리의 삶을 이롭게 해주는 저금에는 많은 종류가 있죠. 오늘은 연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연금은 다양하게 있지만, 공적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으로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공적연금


공무원·군인·별정 우체국·사학 연금과 보통 회사원들이 매달 내고 있는 고용보험에 속하는 국민연금, 공무원 연금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직장인은 의무 가입되어 있어 자동 납부가 됩니다.


ㆍ 공적연금 


① 국민연금 :  국민의 노령, 장애 또는 사망에 대하여 연금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의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


② 특수직역 연금 : 공무원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연금 등 특정 직업 또는 자격요건에 의해 연금의 수급권이 발생하는 연금


- 공무원연금

- 사립학교 교직원 연금

- 군인연금


2. 퇴직연금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일환으로 마련된 제도로, 직원의 노후를 보장하기 위해 기업이 준비한 것입니다.


ㆍ 퇴직연금


① DB (확정 급여형) : 퇴사 직전 3개월의 평균월급 x 근속 연수에 해당되는 금액을 회사에서 보장해 주는 것


② DB (확정 기여형) : 근로자 본인이 퇴직금을 직접 운영해 꾸려나가는 시스템

잘 꾸려나가면 DB형에 비해 더 많은 퇴직금을 모을 수 있습니다.


3. 개인연금


프리랜서 등 개인 스스로가 자신의 노후를 준비하는 제도입니다. 이 여기에 속하며, 주택을 담보로 연금을 받는 주택연금, 65세 이상이 받는 기초연금, 연금저축상품, 연금보험, 개인형 퇴직연금제도(IRP) 등이 있습니다.


ㆍ 개인연금


① 연금저축상품 vs ② 연금보험 : 연금저축상품과 연금보험은 국민의 노후를 책임지는 국민연금에 추가적으로 노후의 안정적인 생활비 보장을 받기 위해 가입하는 연금 상품. 두 상품의 가장 큰 차이는 연금보험은 비과세라는 것.


③ 개인형 퇴직연금제도(IRP) : 퇴직금을 자기 명의의 퇴직 계좌에 적립하여 연금 등 노후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한 것이 가장 큰 장점이며, 국민연금, 퇴직연금과 함께 연 1800만 원까지 추가 납입 가능합니다.


옷도 나에게 잘 맞는 옷이 예쁜 옷이듯, 연금 상품도 종류가 다양한 만큼 나에게 잘 맞는 방법으로 건강한 노후 준비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더 자세히 보기 

연금이 이렇게 다양했어? 똑똑하게 노후 준비하기

혹시 돼지저금통에 100원,200원씩 모아서 어버이날 부모님을 위한 선물을 사보신 적 있으신가요?

은행에 가서 동전을 지폐로 바꾸고, 부모님을 위한 선물을 살 때면 뿌듯함과 동시에 얼른 집에 가서 드리고 싶은 설레임이 가득하죠.

이렇게 우리에게 큰 선물이 되는 저금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건강을 위해 드는 보험, 집을 사기 위한 청약, 그리고 퇴직 후 경제활동을 할 수 없을 때를 대비하는 연금 등이 있죠.

오늘은 연금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연금의 종류​

1.공적연금

공무원∙군인∙별정 우체국∙사학 연금과

보통 회사원들이 매달 내고 있는 고용보험에 속하는 국민연금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2.퇴직연금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일환으로 마련된 제도.

직원의 노후를 보장하기 위해 기업이 준비한 것입니다.

3.개인연금

프리랜서 등 개인 스스로가 자신의 노후를 준비하는 제도입니다.

이 외에도 주택을 담보로 연금을 받는 주택연금, 65세 이상이 받는 기초연금 등이 있습니다.

연금이 이렇게 종류가 다양했다니...!

연금이라고 다 같은 연금이 아니었네요.

연금에 대해서 조금 더 쉽고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공적연금은 흔히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신 국민연금입니다.

직장을 다니는 분들은 자동적으로 가입되어 있고, 매 월 급여에서 약 10%씩 자동납부가 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에는 두가지 제도가 있습니다.

-확정급여형(DB, Defined Benefit)

: 퇴사 직전 3개월의 평균월급 x 근속연수에 해당되는 금액을 회사에서 보장해 주는 것 

-확정기여형(DC, Defined Contribution)

: 근로자 본인이 퇴직금을 직접 운영해 꾸려나가는 시스템

잘 꾸려나가면 DB형에 비해 더 많은 퇴직금을 모을 수 있다.

그리고 국민연금, 퇴직연금 외에도 개인연금이 있는데요.

IRP, 연금저축상품, 비과세 연금보험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개인형 퇴직연금제도(IRP: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 퇴직금을 자기 명의의 퇴직 계좌에 적립하여 연금 등 노후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

연 7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하며, 국민연금, 퇴직연금과 함께 연1800만 원까지 추가 납입 가능.

퇴직 후 연금을 받을 때, 근로소득이 없는 상태에서 세금을 내면 적은 금액이어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데요.

IRP 통장으로 퇴직연금을 관리하게 되면 연말정산에서 최대 700만원까지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죠.

또 조금 더 연금을 많이 준비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서는

연금저축과 함께 연금저축이나 비과세상품을 함께 준비하면 좋겠죠?

*직장인, 주부, 프리랜서 등 모두 직업이 다르니 각자의 상황에 맞는 방법을 잘 선택하는게 중요합니다!

연금의 종류에 대해서 배웠으니,

이제 실전으로 들어가볼까요?

월 300만원씩 받는 직장인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국민연금은 4대보험에 속하는 연금으로 9%인 27만원씩 자동으로 납입됩니다.

그리고 퇴직연금은 보통 1년에 한 달 월급치가 기준이 되기 때문에 25만원씩 저금이 됩니다.

그리고 연금저축상품은 연간 40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약 연금저축 상품에 가입했다면 월 33만원씩 저축을 하고,

비과세 연금보험까지 들어서 월 30만원씩 내고 있다면

총 월 110만원이 연금으로 저축이 되고 있는 것이죠.

현재 활발하게 경제활동을 시작한 20~30대 사이에서는

국민연금고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합니다.

이러한 우려를 사전에 대비하기 위해 5년에 한번씩 정부에서는 재정계산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제 1차 재정계산은 2003년에 실시되었는데요.

그 때 당시 연금 보험료율은 9%, 소득대체율*은 60%로

2036년부터 기금이 감소하면서 2047년에 소진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고,

1차 재정계산 이후, 재정안정 상태 확보를 위해 기초연금 법안 등 다양한 제도개혁안을 시행했습니다.

*소득대체율: 소득의 몇%를 연금으로 받을지 결정하는 지표

연금의 급여수준을 논의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된다.

그 후, 2008년 제 2차 재정계산 때에는 연금 보험료율 9%, 소득대체율 50%,

2013년 제 3차 재정계산 때에는 현행 보험료율 9%와 소득대체율 47.5%,

2018년 제 4차 재정계산에서는 국민연금이 2041년 최고 1,778조원에 이른 후 2057년에 소진될 것으로 예측되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재정계산을 통해 우려를 예측하고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통한 다양한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연금의 종류와 연금에 따른 관리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연금의 종류는 연금보험, 연금증권에 따라 더 다양하게 있는데요.

가장 좋은 건 나에게 잘 맞는 상품​이 아닐까요?

나에게 맞는 방법으로 건강한 노후준비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기획재정부 #기재부 #노후준비 #국민연금 #연금개혁


댓글

[인기 글]

[Dict] Co. Corp. Inc. Ltd.의 차이점?

[Point] 한국거래소 시장조성자 2023년 계약 증권사 리스트 (DMM)

[Point] 벨류에이션 멀티플 리레이팅(re-rating) & 디레이팅(de-rating)

[Blug] List

  • [Keep] 삼성 브랜드 (brand) - [info] 삼성 브랜드 (brand) keycolor Ver.20240521 [Notification] 간접적인 영리추구를 위한 특정한 상품, 서비스, 광고 및 기타 유료 프로모션 자료의 홍보성 글이 아닙니다. 독자에게 특정 주제에 대한 인사이트, 팁, 조언 ...
  • [그룹] 10대기업 - *지난해 말 1350조에서 1400조로 증가1월 부진 만회하며 6개 그룹 시총 증가세 전환이차전지 조정에 포스코는 부진 지속*지난 2월 이후 증시가 강세를 보이면서 10대 그룹의 시가총액이 올해 1분기 50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강세와 기업 밸류업 프로...
  • [Tip] 지급정보 > 설정관리 > 싱가포르 세금정보 (Google AdSense) - [Tip] 지급정보 > 설정관리 > 싱가포르 세금정보 (Google AdSense) 최종 Ver. 20240206 [Related Posts] 싱가포르와 한국 조세 조약 여부 [info] Adsense 광고 게재 (신고·납부) [Section.1] 싱가포르 세금정보 ...
  • [Pin Point] Ai 3파전 / 엔비디아 / 트위치 (2024년) - *AI 개발 경쟁 삼파전, 구글 vs 오픈AI vs 메타의 'AI동맹'* 현지 시각 6일, 구글이 최신 대규모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를 공개하면서 AI 개발 경쟁이 가열되고 있습니다. 구글,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 연합,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중...